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CS지식/ 나만의 도메인이 갖고 싶다면?

by 소년수 2022. 8. 4.

 

나만의 도메인이 갖고 싶다면?


도메인 네임 시스템, DNS...

IP네트워크에서 사용하는 시스템이다. 우리가 인터넷을 편리하게 쓰게 해주는 것으로, 영문이나 한글 주소를 IP 네트워크에서 찾아갈 수 있는 IP로 변환해 준다.

 

이 DNS를 운영하는 서버를 네임서버(Name Server)라고 한다. 서버 구축에 대한 지식이 있으면 어렵지 않게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규모가 있는 사이트의 경우에는 네임서버를 자체 운영하는 경우가 많다.

DNS에서 우리가 자주 보는  .com  .edu .ca .us 같은 익숙한 코드를 최상위 도메인(top-level domain)이라고 한다.

도메인 네임은 노리적인 구조를 따라야 하지만, 지리적인 의미를 담고 있지는 않다.

예를들어 세계적인 한 기업이 세계 각지에서 사업을 운영하지만, 회사의 컴퓨터는 모두 (회사의이름).com 도메인에

포함되어 있다. 이렇게 단일 컴퓨터가 여러 도메인에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는 호스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에서흔히 볼수 있다.

정반대로 많은 컴퓨터와 서버에서 단일 도메인에 서비스를 제공하기도한다. (facebook,Amazon)

 

 

이처럼 도메인 네임에 지리적인 제약이 없다는 점은 각 나라의 도메인 시스템에서 여러가지 흥미로운점을 발견할수 있다.

어느 작은도시의 국가 코드는 .tv인데 만약 어느 나라에서 news.tv 처럼 의도와 의미가 확실한 도메인코드를 쓰고싶다면  그 국가에게 비싼 값을 치러야 한다.

또 한가지의 사례로 .md라는 국가코드를 가진 나라는 의료시스템을 가진 (medical doctor)의 관심을 끌고 있는 경우도 있다.  이렇게 언어적 우연성 덕분에 혜택을 본 나라도 있다.

 

 

 


IP 주소

 

인터넷 프로토콜(Internet Protocol)의 약자로, 인터넷이 통하는 네트워크에서 어떤 정보를 수신하고 송신하는 통신에 대한 규약을 의미한다.

각 네트워크와 거기에 연결된 가가의 호스트 컴퓨터는 다른 개체와 통신 할 수 있도록 IP주소가 있어야 한다.

IPv4는 고유한 32비트 값이다. 인터넷 전체에서 같은 시점에서 한 호스트만 해당 값을 사용 할 수있다.

 

2014년 4월 12일 기준으로 IPv4 주소를 가장 많이 할당받은 국가는 미국이다. 그 수가 약 14억개. 혼자서 공인 IP의 1/3을 먹고 있다. 인구 수 대비 무려 4배가 넘는다. 대한민국은 약 1.1억개를 확보하고 있고, 일본이 약 2억개. 의외로중국 에 할당된 IPv4 주소는 약 3억개밖에 되지 않는다. (인구수대비 1/5수준) 이는 중국에 인터넷이 늦게 보급되기 시작했기 때문에, 늦게서야 IP를 확보하기 시작했기 때문이다. 그래서 중국의 기업들은 IPv6 상용화에 적극적이다.

 

IP 주소는 블럭 단위로 할당 되며, 그 블록은 해당 블록을 기관이 나눠서 할당한다. 

IP주소는 블럭에는 수치적 의미나 지리적 의미가 전혀 없다. IP주소가 비슷하고 숫자가 인가하다고 컴퓨터가 인급한 장소에 있거나 같은 지역에 있다고 볼수는 없다. 그러므로 IP주소만으로 지리적 위치를 유추할 방법이 없다. 

하지만 다른 정보를 통해 IP주소가 어디에 해당하는지 추정할 수는 있다. 

바로 DNS역방향 조회(IP 주소를 이용해 토메인 네임을 알아내는 기능)다.  DNS는 기본적으러 역방향 조회기능을 지원하는데, 서버는 또 아예 다른 문제다. 완전히 다른곳에 있을 수 있다는점...


https://lookup.icann.org/en

 

후이즈라는 서비스를 이용해서 도메인 네임 뒤에 누가 있는지 더 자세히 알 수있다.유닉스 프로그램을 통해 이용가능

 


 

https://ko.wikipedia.org/wiki/%EB%84%A4%ED%8A%B8%EC%9B%8C%ED%81%AC_%EC%A3%BC%EC%86%8C_%EB%B3%80%ED%99%98

IPv4 주소의 최대개수는 43억개. 이는 지구상의 인구 한 명당 한 개씩 쓰기에 부족하다. 통신 서비스 아용이 증가하는 속도를 고려하면 언젠가는 다 소진될 것이다. 게다가 IP주소는 블로 단위로 할당되어 그다지 효율적으로 사용되지 않으므로 생각보다 상황은 더 안좋다. 현재 전세계 대부분의 모든 IPv4의 주소는 할당된 상태다.

 

여러개의 호스트를 단일 IP주소에 편승하게 하는 방법을 사용하면 약간의 여유(?)가 생긴다. 

가정용 공유기는 일반적으로 네트워크 주소 변환 NAT기술을 사용한다. 이 기술은 단일 외부 IP주소로 여러 개의 내부IP주소에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하는데, NAT가 지원된다면 외부에서 볼땐 모두 같은 IP주소를 갖는것처럼 보이며, 장치 내부에 있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가 양방향으로 변환 처리한다.

 


루트 서버

DNS가 제공하는 제일 중요하게 볼 수 있다고 무방한 서비스는 도메인 네임을 IP주소로 변환하는 것이다.

인터넷에서 루트서버 시스템은 .com, .net, .org, 그리고 각국의 국가코드 등과 같은 최상위도메인 이름의 공식적인 원본 목록이 유지되고 활용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이다.

최상위 도메인은 모든 최상위 도메인의 IP주소를 알고 있는 일련의 루트 네임 서버에 의해 처리된다.

 

우리에게 제일 익숙한 네이버로 예를 들어보겠다. www.naver.com 의 IP주소를 확인하려면 루트서버에 naver.com의 IP주소를 물어 본후 naver에 닿을 수 있고, 거기에서 naver 서버에 있는 뉴스라던지,웹툰이라던지 등등에 대해 물어본다음 www.naver.com/webtoon 에 대해 알고 있는 네임 서버에 도달한다.

 

또 , DNS는 검색에 효율적인 알고리즘을 사용한다. 최상위에서 처음 실행한 쿼리를 통해 대부분의 주소를 다음 고려 대상에서 즉시 제거한다. 검색어 트리 구조를 따라 내려감에 따라 이러한 패턴은 각 수준에서 똑같이 적용된다.

 

이론상으론 루트 서버가 하나만 있다고 생각할 수도 있다. 하지만 그럴 경우 루트 서버가 단일 장애 지점이 될 수도 있기 때문에  큰 시스템에 적용하기에는 매우 나쁜 생각이다. 따라서 전 세계에는 13개의 루트 서버가 분포해 있고, 그 중 11개는 미국에 1개는 일본 1개는 네덜란드에 있다. 루트 서버 대부분은 이렇게 실제로 서로 멀리 떨어져 있는 여러 대의 컴퓨터로 구성 되어있고, 세계 어느 지역에서나 웹사이트를 이동하려면 13개 상위 루트 서버 중 하나를 반드시 통과해야 한다.

 

루트 서버는 여러 종류의 하드웨어상에서 다양한 소프트웨어 시스템을 실행하므로, 단일 유형으로 구성된 시스템보다 버그와 바이러스에 덜 취약하다. 하지만 가끔씩 조직화된 해킹이나 디도스 공격을 받으면 루트서버의 13개 전체가 다운되는 일이 발생할지도 모른다.

 


자신만의 도메인 등록하기

 

개발자나 개발자준비자들은 대부분 자신만의 도메인을 등록한 경험이 있을 것이다.

도메인 네임을 정하는 규칙은 따로 없는 것으로 보이고, 심지어 기업이나 유명인사들이 자기방어를 위해 미리 각 기업의 이름에 안좋은뜻을 가진 도메인네임을 예방차원에서 취득하는 경우가 있다.

도메인 네임은 최대 63자로 제한되고 유니코드 문자도 사용할 수도 있다.

 

도메인을 등록했다면 우리의 사이트를 관리할 호스트, 즉 사이트가 방문자에게 표시할 콘텐츠를 보유하고 제공하는 컴퓨터가 필요하다. 또 누군가가 우리의 도메인 IP주소를 찾으려 할때 호스트의 IP주소로 응답하는 네임 서버도 필요하다.

네임 서버는 별도로 갖춰야 할 구성 요소이지만, 대개 등록 대행 업체가 해당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그런 일을 처리하는 다른 업체에 쉽게 접근할 수 있게 해준다.

 

여담으로,  만약 우리가 매우 상업적 가치가 있는 도메인 이름이나 유니크한 도메인이름을 우연치 않게 얻은 경우에는

우리에게 도메인 주소를 사는 방법 말고는 큰 기업이나 업체에서 달리 뺏을 수 있는 방법이 없다.

잘 찾아보면 남아 있을지도..? 

댓글